소화기의 종류 와 가격


소화기는 화재 초기 단계에서 1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기구로, 화재 종류에 따라 사용 가능한 소화기가 다릅니다. 소화기의 종류로는 분말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할론 소화기, 강화액 소화기, 기계포 소화기, 산알칼리 소화기, 물 소화기 등이 있습니다. 또한 용도 및 크기에 따라 소형, 대형, 차륜식, 자동차용소화기 등으로 구분되기도 합니다. 이들 소화기들은 각각의 특징과 사용법이 다르므로 참고해야 합니다.

소화기의 종류 와 가격-불조심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소화기의 종류 와 가격-불조심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소화기의 종류와 구입처

소화기는 화재 초기 단계에서 1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기구로, 화재 종류에 따라 사용 가능한 소화기가 다릅니다. 소화기의 종류로는 분말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할론 소화기, 강화액 소화기, 기계포 소화기, 산알칼리 소화기, 물 소화기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저장되어 있는 소화약제의 종류에 따라 분류됩니다. 또한 용도 및 크기에 따라 소형, 대형, 차륜식, 자동차용소화기 등으로 구분되기도 합니다. 이들 소화기들은 각각의 특징과 사용법이 다르므로 참고해야 합니다.

소화기는 소방시설 판매업체, 온라인 쇼핑몰, 주민센터, 대형 할인마트 등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구입 시에는 반드시 KC인증마크가 부착된 제품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소화기와 화재의 종류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상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소화기는 분말 약제가 들어 있는 빨간색의 축압식 소화기입니다. 이 소화기는 A, B, C 화재에 모두 적합하며, 질소나 이산화탄소 등 불에 잘 타지 않는 기체의 고압 가스를 이용하여 소화 약품 분말을 뿌리는 소화기입니다. 보관하기 편리하도록 받침대와 함께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A급 화재는 일반 가연물이 타고 나서 재가 남는 화재로써 목재, 종이, 섬유,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가연물이 타는 화재를 말합니다. B급 화재는 연소 후 아무 것도 남기지 않는 종류의 화재로써 휘발유, 경유, 알코올, LPG 등 인화성 액체, 기체 등의 화재를 말합니다. C급 화재는 전기기계, 기구 등에 전기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발생된 화재로서 전기적 절연성을 가진 소화약제로 소화해야 하는 화재를 말합니다.

분말소화기 사용법과 가격

분말소화기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안전핀을 뽑습니다.
  2. 노즐을 잡고 불쪽을 향합니다.
  3. 손잡이를 움켜쥡니다.
  4. 분말을 골고루 쏩니다.

분말소화기의 가격은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3.3kg 분말소화기의 가격은 20,000원에서 35,000원 사이입니다. 구입 시에는 용량, 제조사, 제조일자 등을 확인하고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화기의 수명과 적합한 대수

소화기의 내용연수는 10년이며,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서 실시한 성능 확인 검사를 통해 1회에 한하여 3년 연장사용이 가능합니다. 소화기의 성능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지시압력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녹색 부분에 바늘이 위치해 있어야 합니다. 또한 소화기 용기가 변형, 손상, 부식된 것이 있는지 등 안전핀이 고정되어 있고 견고한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소화기는 연면적 33㎡ 이상 시 비치해야 합니다. 각 층마다 설치해야 하며, 각 부분으로부터 1개의 소형소화기까지 보행거리는 20m, 대형소화기의 경우 30m이내가 되도록 배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30평 정원 주택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소화기를 비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화기 놓아두기에 적당한 장소와 불조심 유의사항

소화기는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곳에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건물 출입구,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앞 등의 장소에 설치합니다. 소화기 안내 표지판을 함께 부착하여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수시로 위치를 익혀 두는 것이 좋습니다.

화재가 발생할 경우, 다음의 국민행동요령을 따라야 합니다:

  1. 주변 사람에게 신속하게 알립니다.
  2. 대피방법을 결정합니다.
  3. 신속히 대피합니다.

또한, 화재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유의해야 합니다:

  1. 전기 제품 사용 시 안전한 사용 방법을 준수하고, 전선의 연결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2. 가스 및 석유 제품 사용 시 안전한 사용 방법을 준수하고, 가스 누출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3. 취침 전에 전기 제품의 전원을 차단하고, 불을 꺼야 합니다.
  4. 흡연 시 담배꽁초를 안전하게 처리해야 합니다.

화재 예방과 대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국민재난안전포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