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보조금 추가지원, 전기차 구입 적기는?
정부에서 전기차 수요 급락에 따라 전기차 보조금을 추가로 지원키로 했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포스팅은 전기차 구매를 고민하고 계신 분들께 도움을 드리기 위한 글입니다. 전기차 구매시기가 지금이 적기인지 아니면 조금 더 기다려 보는 것이 유리할지 판단해 보시기 바랍니다.
전기차 수요 하락세
지금까지 마치 날래를 단 듯 잘 팔리던 전기차 수요가 갑자기 주춤하는 추세입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주춤하는 것이 아니라, 급격하게 꺾였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정부에서 전기차 보조금을 추가로 지원한다지만 효과에 대해선 아직 판단하기 이르다고 하겠습니다.
지난해 상반기 70%까지 급증했던 전기차 구매 수요가 금년 7월들어 12% 감소 현상을 보이더니, 8월에는 34%나 감소됐다고 합니다. 대수로 따졌을 때, 전년 동기 대비 4,100대 가량 떨어졌다는 이야기 입니다.
전기차 수요 급락 원인
그렇다면 왜 이런 현상이 벌어졌을까요? 이유는 크게 5가지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한번 열거해 보겠습니다.
- 전기차 충전소가 적다 : 2023년 10월 현재 우리나라 전기차 충전기는 모두 24만1천215기입니다. 그 중 급속이 2만5천여기, 완속충전기는 21만 6천여기지만, 등록된 전기차량 대수는 무려 128만 9,983대에 이릅니다. 충전기가 턱없이 부족할 수 밖에 없습니다.
- 충전 시간이 길다 : 급속이 아닌 완속으로 충전했을 때 걸리는 시간은 대략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됩니다.
- 수리비가 일반 차량에 비해 평균 35% 정도 비싸다고 봐야 합니다.
- 전기요금 인상 : 2023년 10월 기준, 전년 동기 대비 전기요금 인상율은 5.3%를 보이고 있으나, 언제 얼마나 더 오를지는 예측할 수 없습니다.
- 자동차세 과세 변경 : 기존 배기량을 기준으로 부과하던 자동차세가 차량 가격을 기준으로 한다고 합니다. 이는 일반 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전기차 소유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전기차 보조금 포함 전기차 구입 가능가격
환경부에서 전기차 보조금을 100만원 추가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 볼 필요가 있습니다. 주요내용은 차량가격 5천700만원이 기준선입니다. 즉 5천700만원~8천500만원에 해당하는 자동차에 대해서는 50%인 50만원을 지원하고, 5천700만원 미만 차량에 한해서 100만원을 지원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5천600만원 짜리 전기차를 얼마의 가격에 산수 있는지에 대한 산술이 가능해 집니다. 물론 지역에 따라 보조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금액은 아닙니다.
- 차량가격 5천600만원(가정)-제조사 할인금액 600만원(추정)×지자체 보조비율 30%(평균)-환경부 보조금 100만원=4,420만원(추정가격)
전기차 구입 시기, 당신의 선택은?
위와 같은 이유로 전기차 구입 수요가 주춤하고 있다고 보고, 정부에서 전기차 보조금 확대 지원방안 등 아래와 같은 대책을 내 놓을 것으로 전망해 볼 수 있습니다.
- 충전 인프라 확충: 정부는 2030년까지 전기차 충전기 123만기 이상을 보급하는 계획을 추진할 것입니다. 특히, 고속도로 휴게소, 주차장, 공공기관 등에 급속충전기를 우선적으로 설치할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 충전 시간 단축: 정부에서 초급속충전기 보급을 확대하고, 충전기 성능을 개선하는 방안 마련에 들어갔다고 전해집니다.
- 수리비 절감: 전기차 수리비 절감을 위해 부품 표준화 및 공동구매 등의 추진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 전기요금 안정화: 전기요금 인상 속도가 조절되고, 전기차에 대한 요금 할인 등 지원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자동차세 완화: 전기차에 대한 자동차세를 감면하는 방안도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상과 같이 전가차 수요 급락에 따른 수요 적기는 언제가 좋을지에 대한 판단 정보를 제시했습니다. 과연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을 100만원 산정한 것이 효과가 있을지 또한 의문입니다. 참고로 이 데이터는 2023년 10월 기준임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