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키워드 플래너 활용 키워드 분석
구글 키워드 플래너를 이용한 키워드 분석하기 입니다. 키워드와 관련한 분석툴들은 무수히 많지만, 모두 사용할 필요는 없을 것 같고, 간단하게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키워드 마스터와 키워드 플래너 정도만 사용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키워드 플레너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키워드 구상
홈페이지나 수익형 블로그 운영자들에게 키워드가 중요한 것은 검색 결과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기 때문이란 건 누구나 아는 사실입니다. 내가 어떤 키워드를 정했을 때, 그 키워드가 갖는 경쟁도를 가정 먼저 생각해 봐야 합니다.
아무 생각 없이 특정 키워드를 정해서 글을 썼는데, 어느 구석에도 내 글이 노출되지 않는다면, (그 포스트가 색인이 되었다면)경쟁도가 매우 높은 키워드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그 반대의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가령 내가 쓴 글이 구글 최상위에 노출되는데, 클릭률이 없거나, 적다면 그 키워드는 아무도 검색에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봐야 할 것입니다.
그러면 키워드를 정할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데요. 먼저 어떤 키워드를 정할지 결정을 하고 있어야 합니다. 다음으로 아래에서 설명하는 대로 분석해 보면서 필요시 연관 키워드를 찾아 보는 겁니다.
구글 키워드 플래너 활용 방법
먼저 구글 검색창에 ‘구글 애즈’를 검색합니다. 사실 구글 애즈(Google Ads)란 애드센스를 통한 수익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블로그 운영자들을 위한 사이트가 아니고, 구글에 광고를 달기 위한 광고주를 위한 페이지로 봐야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를 역으로 들여다 보면 어떤 키워드를 선정하는 것이 노출에 유리한지 알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구글 애즈의 키워드 플레너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애즈 사이트에 로그인을 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청구서 수신국가나 시간대, 통화표시를 위와 같이 설정하고, ‘캠페인 안내’, ‘새 기능 초대받기’는 아니오를 선택한 후 제출을 클릭합니다.

위 화면에서 ‘키워드 플래너 살펴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위 화면에서 ‘키워드 플래너’를 선택한 후 ‘새 키워드 찾기‘를 클릭합니다.

위에서 보시는 것처럼 입력창에 임의로 티스토리 블로그, 블로그 만들기, 키워드 찾기, 워드프레스라는 키워드를 넣어 봤습니다. 키워드를 하나만 넣어도 되지만, 다양한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유사한 키워드를 조합해 입력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한 개 이상 다량의 키워드를 입력할 때는 숨표(,)를 찍고 스페이스바를 누릅니다. 결과보기를 클릭합니다.

결과를 보면 임의로 선정한 키워드 경쟁도가 ‘낮음’으로 나오는데, 경쟁도 구분은 ‘높음’과 ‘중간’ 그리고 ‘낮음’으로 표현됩니다. ‘월간 평균 검색량’과 경쟁을 판단해 ‘중간’이나 ‘낮음’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측을 보면, ‘최저 상단 입찰가’와 ‘페이지 상단 입찰가’를 볼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은 광고주가 특정 키워드를 선택했을 때, 입찰가는 어느 정도 되는지 판단하는 자료지만, 수익형 블로그 운영자들은 이를 통해서 어떤 키워드를 썼을 때, 어느 정도의 수익이 발생할 수 있는지 가늠해 볼 수도 있는 것입니다. 이 입찰가가 그대로 블로그 운영자들에게 돌아가는 수익이 아니고, 단지 어느 정도 되는지 판단하는 자료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좌측을 보면 ①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와 ②키워드 아이디어를 볼 수 있는데, 키워드 아이디어란 ‘사용자 제공 키워드’의 경쟁도가 높거나 입찰가가 낮을 때, 참고를 해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체계적인 키워드 분석을 위해서는 아래 버튼을 눌러서 활용해 볼 수 있습니다.

위의 ①화살표 버튼을 눌러 검색된 내용을 csv와 Google Sheets 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이 파일 분석을 통해 디테일하게 키워드를 분석해 볼 수 있습니다.
이상과 같이 간단하게 키워드플래너를 이용한 키워드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을 드렸습니다. 키워드 분석툴은 이 외에도 키워드 마스터, 네이버 키워드, 블랙 키위 등이 있습니다. 적합한 툴을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중요한 것은 대부분이 네이버를 기준으로 한 분석 툴이라는 것입니다. 구글을 타킷으로 한다면, 구글 키워드 플래너를 통한 분석이 정확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