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구입시 업체 비교 및 참고할 사항 5가지
도메인 구입시 업체 비교 및 참고할 사항입니다. 도메인이라는 사전적 의미는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도메인은 사이트를 구축하거나 개별 블로그를 만들 때, 필수 요건 중 하나입니다. 물론 네이버나 티스토리처럼 특정 회사의 플렛폼 위에 블로그를 구축하는 것은 예외겠지만 – 그럴 경우 자신의 사이트의 특성과 독특함은 살릴 수 없다는 것입니다 – 새 도메인 이름을 정할 때, 알아두면 도움이 될 만한 것들을 간추려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도메인 구입시 저렴한 곳 가격 비교
도메인 등록을 대행하는 업체는 무수히 많습니다. 그러나 주의해야 할 것은 저렴하다고 무조건 아무 업체에 소중한 자신의 도메인을 등록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어떤 이유로 업체가 폐업을 하거나, 시스템 문제가 생겼을 경우도 생각해 볼 일입니다. 아래는 도메인 등록 대행 업체 현황과 서비스 가격입니다. 비교의 단순화를 위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com 도메인을 대상으로 했고, 2023년 10월 기준이며, 업체 순은 무작위로 하였음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업체명 | 가격/년 | 사이트 주소 |
가비아 | 24,000원 | https://domain.gabia.com/ |
반값도메인 | 18,500원 | https://www.halfdomain.co.kr/ |
싼도메인 | 24,200원 | https://www.ssandomain.com/ |
호스팅케이알 | 13,900원 | https://www.hosting.kr/ |
닷네임 | 12,570원 | https://www.dotname.co.kr/ |
미리내닷컴 | 20,000원 | https://www.mireene.com/ |
도레지 | 19,800원 | https://www.doregi.com/ |
아이티이지 | 15,800원 | https://www.iteasy.co.kr/ |
아이윈 | 13,000원 | https://www.iwinv.kr/ |
고대디 | 15,999원 | https://kr.godaddy.com/ |
그러나 알아 두어야 할 것은 도메인 중 당해 년도만 저렴한 경우도 있다는 것입니다. 1년 쓰고 버릴 거라면 상관없지만, 그렇지 않다면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위 자료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현시점을 기준으로 가장 저렴한 곳은 아이윈과 호스팅케이알 임을 알 수 있습니다. 편견이 아니고, 많은 사람들이 추천하는 곳이 ‘호스팅케이알’입니다. 이유는 오래된 전통있는 업체라는 것과 안정적이며, 싼 가격이 원인인 듯 합니다. 도메인 구입시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COM도메인을 선호하는 이유
많은 사람들이 도메인을 선정할 때, com인지, net인지를 먼저 따집니다. 이유가 있습니다. 구글 SEO에 이 두 도메인이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co.kr이나 kr 도메인이 불리하다는 것은 아닙니다.
홈페이지나 블로그 이용자를 우리나라 사람으로 한정했을 때, 경우에 따라서 co.kr이나 kr 도메인이 비교 우위에 있을 수 있다는 것도 참고 바랍니다. 말이 나온 김에 co.kr과 kr의 차이에 대해 간단하게 언급해 보겠습니다.
co.kr과 kr 도메인의 차이
두 도메인의 공통점은 Korea라는 국가 도메인이라는 것이지만, 쓰임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co.kr 도메인은 상업적 성격을 띤 도메인으로 봐야 합니다. 그러니까, 블로그를 만들 때 가능하면 co.kr 도메인은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에 비해 kr 도메인은 비교적 범위가 넓은 편입니다. 개인 도메인부터 기업, 상업적 용도 등 가리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 추세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팁을 드리자면, 전 세계 사람들이 이용하는 com이나 net 보다는 kr 도메인 확보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꼭 그런 것은 아니지만, 본인이 커피점을 운영한다고 가정했을 때, coffeeshop.com의 선점은 어렵지만, coffeeshop.kr은 가능할 수도 있다는 말입니다. 도메인 구입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도메인 주소 만들 때 참고할 사항
도메인 주소 만들 때, 무작정 생각나는 대로 막 짓는 것보다 심사숙고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유는 거듭 말하지만, 검색의 용이성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서 검색엔진 SEO와 관련된 사안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도메인 이름을 짓는데 있어 몇 가지 유의해야 할 사항을 짚어보겠습니다.
- 도메인은 짧은 것이 좋습니다. 단어가 아니라면 5자 이상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의미없는 도메인 이름은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누군가 isanh.com이라는 도메인을 만들었다고 했습니다. 무슨 의미인지 물었더니 ‘인수안, 즉 안인수’가 본인 이름이기 때문에 그렇게 했답니다. 그걸 본인 외에 쉽게 기억할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검색 엔진 봇 조차도 ‘저 사람 이름이 안인수니까, isanh 라고 했군!’이라고 판단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 가능하면 한 개 또는 두 개의 단어 조합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김치공장 관련 도메인 이름을 짓는다면, kimchiFactory.com 이런 식으로 말입니다. 물론 자신이 운영하는 업체 관련 단어가 들어가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 하이픈(-)이나 숫자는 도메인 이름에 넣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누구나 본인이 올리고자 하는 정보 또는 글이 검색 사이트 최상단에 올려지길 바랄 것입니다. 글만 잘 쓴다고 되는 것도 아니며, 사이트 이름을 잘 짓는다고 되는 것도 아닙니다. 여러가지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는데, 그 중 도메인 이름도 무시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숫자나 하이픈(-)이 들어간 도메인은 뒤로 밀린다는 것도 알아 두셨으면 합니다.
- 마땅한 도메인 이름이 없다면, 문자를 추가하는 것도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festival.com이 필요한데, 당연하겠지만 이미 누군가 선점을 했을 것입니다. 임시 방편격으로 festivalla.com 처럼 뒤에 la를 붙였습니다. 아무 의미도 없어 보이지만, 봇은 페스티벌 관련 사이트로 인식을 할 것입니다.
위 내용을 참고해 도메인 구입을 한다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맺는 말
이상과 같이 도메인 구입시 업체 비교 및 참고할 사항을 비롯해 도메인 이름 짓는 방법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제 경험으로 볼 때, 도메인 이름을 막 짓게 되면 애착도 가지 않을 뿐 아니라, 효과도 크게 떨어진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고심을 거듭해 도메인 이름을 결정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