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판로개척 지원 사업이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추진하는 사업으로 소공인의 국내외 판로개척을 위해 최대 3천만 원까지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온라인 판매 채널 구축, 해외 진출, 전시회 참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소공인의 판매 활성화를 돕습니다. 이 사업에 참여하려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작성하고 제출하면 됩니다. 신청 기간은 2023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입니다.
중소기업 판로개척 지원 사업 지원 대상자
중소기업 판로개척 지원 사업은 소공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입니다. 소공인이란 상시근로자 수 10인 미만의 제조업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는 사업자를 말합니다. 따라서 개인사업자나 농산물 판매자도 해당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사업자가 상시근로자가 없고 제조업을 영위하거나, 농산물 판매자가 상시근로자 수 10인 미만이고 제조업을 영위하면 소공인에 해당됩니다. 그러나 상시근로자 수 10인 이상이거나 제조업 외의 업종을 영위하는 경우에는 소공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중소기업 판로개척 지원 사업 지원금 한도
중소기업 판로개척 지원 사업의 개인별 지원금 한도액은 최대 3천만 원입니다. 단, 지원 방식은 사업비 매칭 지원으로, 국비는 80% 이내, 자부담은 20% 이상이어야 합니다. 또한, 지원금은 바우처 항목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각 항목별로 지원한도가 다릅니다. 예를 들어, 전시회 참가 비용은 최대 2천500만 원까지 지원되고, 온라인 마케팅 비용은 최대 2천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 바우처 항목 : 바우처 항목이란 판로개척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를 미리 선정해놓은 항목입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판매 채널 구축, 해외 진출, 전시회 참가, 미디어 콘텐츠 제작, 오프라인 매장 입점 등이 바우처 항목에 해당됩니다. 이 중에서 자신의 사업에 맞는 항목을 선택하여 지원금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중소기업 판로개척 지원 사업 세부내용
중소기업 판로개척 지원 사업은 소공인들을 대상으로 국내외 판로개척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판매 채널 구축을 위해 온라인 쇼핑몰 입점비나 라이브 커머스, SNS 등의 마케팅 비용, 해외 진출을 위한 해외 유통 플랫폼 등 입점비나 수출상담회 비용, 전시회 참가를 위한 국내외 전시·박람회 참가비, 집기 임차비 등을 지원합니다. 이 외에도 공동기획전, 미디어 콘텐츠 제작, 오프라인 매장 입점 등의 사업도 있습니다.

중소기업 판로개척 지원 사업 심사 기준
이 사업을 신청하면 외부 전문가들이 신청서와 제품을 평가하여 심사에 통과할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심사 기준은 지속가능성, 상품성, 완성도 등이며, 총 배점은 100점입니다. 심시기준은 신청자의 역량과 계획, 제품의 특징과 품질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신청서를 성실히 작성하고, 제품의 차별화된 점을 잘 강조하고, 판로개척 계획이 구체적이고 현실적이면 심사에 유리한 것은 확실합니다.
- 소공인 확인서 발급처 : 소공인 확인서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발급받으려면 e 나라 도움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후 신청서를 작성하고 제출하면 됩니다. 또는 중소 벤처 24 홈페이지 에 접속하여 중소기업 현황 정보시스템에서 중소기업 (소상공인) 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결론
2023년 중소기업 판로개척 지원 프로그램은 매출 및 시장점유율 확대를 모색하는 중소기업에게 소중한 자원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기업에 재정 지원, 시장 조사 및 분석, 네트워킹 기회, 멘토링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사업을 성장시키고자 하는 중소기업이라면 2023년 중소기업 판로개척 지원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