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p 파일로 블로그 빠르게 하는 법

webp 파일에 대해 의외로 잘 모르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 올리는 정보입니다. webp는 이미지 파일 확장자 중 하나입니다. 그림파일을 말할때, jpg, png, gif, bmp는 들어봤는데, webp는 왠지 생소하게 느껴집니다. 제가 그랬다는 것입니다. 처음엔 이게 뭔가 생각할 정도였습니다.

참고로 webp 용어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일부 ‘웹피’로 표기 했음을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면서 웹 개발자들은 이미지 파일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이미지 파일에 대해 최대한 무손실을 유지하면서 파일 크기는 작게 하자는 것이었습니다.

수 십년간 jpg와 png파일이 위의 조건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여겨왔던 것 또한 사실입니다. 그러던 중 2010년도에 구글에서 웹피 포멧 형식의 파일을 개발했습니다.

같은 화질을 유지하면서 파일 크기가 jpg에 비해 30%정도 작고, png 대비 26%작은 포멧 형식의 이미지 화일이 웹피입니다. 구글에서는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웹피 사용을 권장했으나, 이미 jpg나 png에 익숙한 사용자들은 크게 관심을 갖지 않았습니다.

제 경험에 비추어, 왜 웹피를 사용해야 하는지 설명해 보겠습니다. 요점을 말씀 드린다면, 블로그 글이 몇 개 되지 않는다면 문제될 것이 없으나, 100개가 넘어가면 생각을 해 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PageSpeed Insight를 통해 내 블로그를 체크했을 때, 큰 변화를 보였습니다. 무슨 말인가 하면 구글 서치콘솔에서 코어웹바이탈 문제가 있다는 경고에 모든 이미지 파일을 웹피 형식으로 바꾼 후 이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다시 말한다면 구글 SEO 측면의 변화를 가져왔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게시글이 열리는 속도가 늦은 원인은 여러가지 요인이 있겠으나, 대표적인 것이 이미지입니다. 빠르게 하려면 최대한 무손실 감량을 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면 webp 파일에 대한 간단한 이해와 기존 jpg나 png 파일을 어떻게 쉽게 변경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소개해 보겠습니다.

webp 파일로 변화하는 방법
webp 파일로 변화하는 방법

webp파일의 특징

  1. 이 파일은 인터넷 환경을 배경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이 포멧 방식의 파일을 오프라인상에서 사진현상을 한다거나 인터넷이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할 수 있습니다.
  2. 이 파일은 용량이 작기 때문에 로딩 속도면에서 jpg나 png에 비해 상당히 빠릅니다. 사용자 경험이 높아질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3. 구글에서 만들었다는 한계 때문인지 모르겠으나, 익스플로러에서는 열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문제 때문에 이 파일 사용을 꺼리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익스플로러가 더 이상의 개발을 중단하면서 사용자층이 점점 엷어지는 추세라는 것도 알아 둘 필요가 있습니다.
  4. 사진을 전문적으로 쓰는 분들에게는 비추천입니다. 이미지를 확대했을 경우 화질이 크게 저하됩니다.
  5. 이 파일은 웹 용도로 개발했기 때문에 웹 외의 다른 환경에서는 잘 열리지 않는 치명적 단점도 있습니다.

jpg 또는 png 파일의 webp변환 방법

웹피 포멧 형식으로 파일을 변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아주 간단하게 ‘포토스케이프x’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포토스케이프x를 실행한 후 대상 파일을 불러옵니다.
  2. 파일 저장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화일 크기의 변화를 알 수 있습니다.

3. 위에 보이는 것처럼 같은 조건에서 jpg파일로 저장했을 때는 64kb이나 webp로 했을 때는 49kb임을 알 수 있습니다.

4. 다른 이름으로 저장 버튼을 클릭한 후 웹피 형식으로 저장을 하면 됩니다.

이상과 같이 webp 파일로 블로그 빠르게 하기라는 제목의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Similar Posts